안녕하세요 행복한 장서방입니다. 지난번 포스팅을 통해 아래와 같이 3기 신도시 입주대상 및 배정물량을 설명드렸었습니다.
1) 30% : 혼인기간 7년 이내 신혼부부
2) 25% : 생애최초
3) 15% : 일반 입주자저축 가입자
4) 15% : 기관추천
5) 10% : 다자녀가구(3명 이상)
6) 05% : 노부모 부양(만 65제 직계존속, 3년 이상)
오늘은 이 중 가장 많은 비율에 해당되는 혼인기간 7년 이내 신혼부부의 입주대상 선정방식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혼부부 특별공급은 일반적인 공공분양주택을 통한 공급과 신혼 희망타운을 통한 공급으로 나누어집니다.
2021년 사전청약 대상 중 신혼 희망타운을 통한 공급이 있는 3기 신도시는 아래와 같이 인천 계양, 부천 대장, 고양 창릉, 안산 장상 신도시가 있습니다. 신혼 희망타운의 입주자 선정방식은 일반적인 신혼부부 특별공급의 입주자 선정방식과 조금 다른 점이 있으므로 청약 신청 시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입주자격 비교
일반공공분양주택 vs 신혼 희망타운
신혼 희망타운의 입주자격의 가장 큰 특징은 당초 공공분양의 경우 혼인 기간이 7년 이내로 제한되는 반면에, 신혼 희망타운은 혼인 기간이 7년 이내 또는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경우도 신혼부부로 간주되어 청약을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다시 말해 혼인 기간이 7년이 넘어도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경우 신청자격에 해당된다는 점입니다.
예비 신혼부부의 경우 일반 공공분양에서는 입주 전까지 혼인 사실을 증명하여야 하나, 신혼 희망타운은 공고일로부터 1년 이내 혼인 사실을 증명해야 합니다. 적용 기준이 조금 더 강화된 것으로 보입니다.
2. 소득 및 자산기준 비교
일반공공분양주택 vs 신혼 희망타운
소득의 경우 일반 공공분양주택과 신혼 희망타운 기준은 동일합니다. 기본 130% 이하이며 맞벌이인 경우 140% 이하까지 가능합니다. 위 표시된 율에 해당하는 금액은 위 표에 표시해두었으나 실질적인 소득기준은 특정 아파트의 분양 당시 분양공고문에 정확하게 명시되어 있으므로 반드시 그 내용을 참고로 가능 여부를 판단하셔야 합니다.
자산기준은 조금 상이한 면이 있습니다. 일반공공분양주택의 경우 부동산과 자동차를 세분화하여 기준을 정한 반면 신혼 희망타운은 총자산 기준으로 판단하며 기준금액 또한 조금 더 높습니다.
3. 당첨방법 비교
일반공공분양주택 vs 신혼 희망타운
두 분양방법 모두 복잡해 보입니다. 주된 차이점은 신혼 희망타운은 1순위 대상 선정에 있어 소득보다는 혼인기간이 길지 않고 어린 자녀가 있는 신혼부부를 우선 배정하고 있으며 일반공공분양주택의 경우 저소득층을 최우선 순위로 고려하여 우선 배정하고 있습니다.
동일 순위에서 경쟁 시 당첨자를 선별하는 기준은 가구소득, 당해지역 연속 거주기간, 입주자 저축 납입 횟수 등 거의 동일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예비 신혼부부의 경우 두 분양방법 모두에서 1순위에 들어가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은 신혼부부 특별공급에 대해 알아보며 특징적으로 신혼 희망타운과 일반공공분양의 신혼부부 특별공급을 비교 분석해보았습니다. 제가 다시 한번 느끼는 점은 복잡하고 복잡하고 또 복잡하다입니다. 주변에 분양이 어렵고 복잡하여 시도조차 안 하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조금 쉽게, 누구나 접근이 용이하도록 개선이 될 필요성이 있어 보입니다. 모두 내 집 장만 성공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작성자의 다른 3기 신도시 글 보기 #
▼ 아래 링크 참조 ▼
https://happiest.tistory.com/category/부동산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년 분양 추첨제 물량 예상 및 가능지역 분석 (0) | 2021.06.22 |
---|---|
3기 공공청약 신청 소득 기준 (0) | 2021.06.21 |
안산 장상 지구 소개 (0) | 2021.06.17 |
부천 대장 입지 및 도시계획 (0) | 2021.06.16 |
과천 신도시 개발계획 (0) | 2021.06.11 |
댓글